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지자체 내 적정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요양병원의 규모산정에 관한 연구 -강북구를 중심으로- / 박연성·최윤진

안전문화포럼 | 2022.06.01 17:04 | 조회 111

 

  우리나라 인구구조에 따른 현 상황을 살펴보면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으로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노인 수의 증가와 함께 2008년 노인 요양보험의 시작과 더불어 노인 의료복지시설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OECD 평균 1,000명당 45.6개보다 많은 60.4개(OECD Health Statistics 2021)이지만 장기요양이용자들이 본인의 거주 지역에서 요양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많지 않아 지역 내의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으며, 1인당 요양병원이 평균 460일, 요양원은 904일(국회제출자료 2019. 8.)을 돌파하는 상황에 따른 지역 상생을 위한 지역별 적정 병상 및 요양 침상을 산정하여 분포시켜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거주 지역 내의 적정 병상 및 요양 침상의 확보는 이용 노인의 기존의 거주지에서 케어를  받는 것이 환경적 측면에서 안정감을 가질 수 있고, 지자체의 경제적 측면에서 지역 내 배정되는 의료보험 및 요양급여를 그 지역에서 활용하여, 지역 내 일자리 증가 등 긍정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의 지자체 중 높은 고령화 지수를 가지고 있는 강북구의 기존 요양병원의 병상 수와 노인 의료복지시설의 요양 침상의 현황을 파악하고, 강북구의 내의 요양병원과 의료복지시설 간의 시설 배분 비율을 산정하여 시설 입소율 국가목표인 3.35%와 OECD평균 5.5%인 경우  각각 732개, 1,985의 병상 및 침상 수가 충족되어야 하며, 요양병원의 수는 평균 병상 수가 186병상수 기준 5~10개소(입소율 3.25~5.5%)이며,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경우는 요양병원보다 규모가 작아 시설의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강북구 뿐 아니라 단위 지자체 운영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별 적정 병상 확보 및 적합한 시설 구성을 위한 특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여 지역 간 균형을 꾀하는 기초적 방법론을 마련하는 것에 그 의의를 가진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79개(1/9페이지)
안전문화연구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79 환자 안전을 위한 요양병원 인수인계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 윤정현·윤은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5 2022.07.31 19:54
178 코로나19 시기에 고등학교에 재학한 고3 학생들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44 2022.07.31 19:52
177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경제특성과 건강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22 2022.07.31 19:51
176 축열식 연소산화장치 구현을 통한 VOCs 산화처리 및 폐열 회수 기술 개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9 2022.07.31 19:50
175 중대재해처벌법에 대비한 건설현장의 스마트기술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민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46 2022.07.31 19:48
174 재난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소방청 직제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 손원배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6 2022.07.31 19:47
173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대한 논의 - 법률적 ‧ 제도적 개선을 중심으로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8 2022.07.31 19:46
172 의사소통 장애아동 특성을 고려한 언어 중심 심리 운동 실재와 중재 이론을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13 2022.07.31 19:44
171 원격조종 타워크레인 작업에서 안전작업매뉴얼 활용이 안전의 3원인(3E)과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29 2022.07.31 19:43
170 스토킹범죄 피해자 보호에 관한 연구 -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24 2022.07.31 19:42
169 성인의 생애주기별 좌절경험과 위험요인 / 박현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3 2022.07.31 19:41
168 사업장 위험요소 존재와 산업재해 발생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제9차 산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4 2022.07.31 19:40
167 덴마크 법무보호복지제도에 대한 비교고찰 / 최주희·공정식·현문정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4 2022.07.31 19:38
166 대학생 e-스포츠 참여유형과 중독 성향,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 연구 /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3 2022.07.31 19:37
165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생활화(KSD)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 서명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45 2022.07.31 19:36
164 노인일자리 전담기관의 위험사고와 대응에 관한 위험관리 연구 - 부산광역시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27 2022.07.31 19:35
163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 신미숙·송경화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3 2022.07.31 19:33
162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동향 - 국내 간호 연구를 중심으로 -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9 2022.07.31 19:31
161 공항 내 근로자의 안전 의식, 응급상황 인식 및 응급상황 대처 능력에 관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4 2022.07.31 19:30
160 건설업 협력업체 근로자의 안전사고경험 및 안전감시단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7 2022.07.31 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