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일부지역 상수도서비스 향상을 위한 시민 만족도 조사 / 이승길·김미나

안전문화포럼 | 2022.01.03 13:04 | 조회 127
 현행 수돗물 수질검사서비스를 보다 발전적이고 적극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시민들의 의견 및 수질검사서비스 만족도 관련 설문조사를 활용한 조사 및 분석으로 향후 시민들의 입장에서 수질검사서비스의 질(Service Quality)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조사기간은 2020년 10월 26일부터 30일간이며, 연구 대상으로는 수원시 상수도사업소에 민원업무를 접수한 이용자와 수원시 및 인근지역 시민으로 유효 표본 집단 총 497명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구조화된 조사표를 이용한 전화 및 면담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수돗물 이용에 따른 만족도와 개선사항이다. 상수도서비스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각각의 항목들은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매우 만족 5점, 보통 3점, 매우 불만족 1점). 
  수원시 상수도서비스의 객관적 만족도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각각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유의수준 0.05로 하여 수돗물 음용요인, 수질관리 요인, 물 공급서비스 요인, 요금부과 및 납부, 업무처리 요인 등 총 5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회귀계수(Beta)값을 비교해 보면 수질관리요인, 업무처리만족도, 요금부과 및 납부 순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통계적 결과가 나타내는 의미는 상수도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수질관리개선노력, 상수도사업소 직원의 업무처리만족도, 수도요금 등에 대한 개별요인들의 만족도가 클수록 상수도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된다고 할 수 있다. 
  수원시의 수돗물 음용에 대한 평가에서는 수돗물을 직접 음용한다는 비율보다 정수기나 생수를 음용한다는 비율이 훨씬 높은데 이는 식수로 이용하기가 불안하고, 물맛이 좋지 않다 라는 의견이 제시됨에 따라 수돗물의 직접 음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수질검사와 수질개선 관리로 수돗물을 직접 음용해도 안전하다 라는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수돗물 수질에 대해 신뢰한다는 수준이 신뢰하지 못한다는 의견보다 높게 나온 것은 수돗물에 대한 신뢰가 있기 때문에 향후 수돗물 수질관리 유지에 대한 노력과 보다 높은 수질개선을 위한 행정적 절차를 마련하여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는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수원시 상수도 사업소의 종합 만족도는 업무처리 정확성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담당직원의 친절성, 전반적 만족도, 업무처리 신속성 및 담당직원 전문성으로 조사되었기에 상수도 사업소 직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43개(1/8페이지)
안전문화연구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3 외래 이용자의 의료서비스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및 관련 요인 / 김지온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123 2022.04.04 21:50
142 포스트 코로나 19시대의 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광안전 증진방안 모색 -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104 2022.04.04 21:49
141 코로나 19 시기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불안이 스마트폰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5 2022.04.04 21:48
140 취약계층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실태와 삶의 질 조사 - 천안 성정동 지역을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86 2022.04.04 21:47
139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빗속의 사람(PITR) 그림’ 반응특성에 관한 연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74 2022.04.04 21:45
138 웃음프로그램이 간호 교직학생의 웃음지수,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5 2022.04.04 21:44
137 예비유아교사의 급식지도 중요도 인식과 식습관 및 영양지식 / 권혜진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4 2022.04.04 21:43
136 비행 피해와 부정적인 감정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의 성차 - Agnew의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4 2022.04.04 21:41
135 북유럽국가의 수용자 처우에 관한 연구 / 최주희·공정식·현문정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81 2022.04.04 21:40
134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IoT 기반 지능형 화재진압 장치 / 윤달환·김승호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71 2022.04.04 21:38
133 대학 연구실 안전리더십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 분석 - 안전 풍토의 매개효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2 2022.04.04 21:36
132 노인학대 사례에 대한 현상학 연구 - 상담원 소진 경험을 중심으로 - /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49 2022.04.04 21:34
131 국내외 질식재해 현황 비교를 통한 국내 정책방향 제언 / 임대성·이승길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75 2022.04.04 21:33
130 공공데이터분석을 통한 범죄안전도시 구축의 제언 - 경기도 화성시 범죄를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4 2022.04.04 21:28
129 고객의 불량행동 응대상황이 감정노동결과에 미치는 영향 - 개인요인의 조절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74 2022.04.04 21:23
128 간호대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이 결핵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에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128 2022.04.04 21:22
127 EMR 인증 후 상급종합병원 종사자들의 EMR 시스템 보안성에 대한 인식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102 2022.04.04 21:21
126 특성화고등학교 여학생의 아르바이트 실태와 권리 인식 / 김정아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69 2022.01.03 14:28
125 코로나-19 지식, 보호 장구 착용 및 손씻기 인식이 대학생의 예방적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30 2022.01.03 14:25
124 초등학생의 안전 실천행위 향상을 위한 「ASK(Attitude, Skil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464 2022.01.03 1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