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과 사고 공개에 대한 태도 및 보고 의도와의 관계 / 조수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사고를 관찰한 경험 여부에 따라 환자안전사고 공개에 대한 태도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또한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 횟수와 환자안전사고공개에 대한 태도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 교육과정에 환자안전 관련 과목이 정식으로 개설되어 있지 않은 3개 간호대학을 편의표집하여 총 215명의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설문지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5.1%에 해당하는 97명의 학생들이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 유무에 따른 사고 공개 태도와 사고 보고 의도를 비교한 결과 환자안전사고가 공개되어야 한다는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0.438, p=.662), 사고 보고 의도에 대해서는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2.547, p=.012).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횟수는 환자안전사고 공개 태도 및 보고의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환자안전사고 공개 태도와 보고 의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144, p<.05).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이 환자안전사고가 공개되어야 한다는 태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실습 도중 환자안전사고를 관찰한 경험이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이 환자안전사고 보고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사고 보고 후 긍정적 피드백에 대한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임상실습 지도 교육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이 환자안전사고에 대하여 시스템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학습의 기회로 인식하고 바람직한 환자안전문화를 형성하도록 하여 추후 간호사가 되어 환자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제14호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사고 조수미-17-29.pdf (285.8KB) (18)





143개(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