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 교육시작 및 필요시기에 관한 연구 - 생애주기 안전 교육을 중심으로 - / 유혜진·최서연
본 연구는 생애주기 중 안전 교육의 시작과 필요한 시기를 알아보고, 안전 교육 체계 구축의 기초 자료 제공의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세 이상 3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최근 3년 이내의 생활안전사고 경험은 작업 안전이 가장 많았고, 시설물의 노후화, 개인의 안전 부주의(또는 미숙)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생활안전교육의 처음 시작과 가장 필요한 시기는 영유아기(0~5세), 아동기(6~12세)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 여성, 31세 이상, 기혼, 배우자, 배우자 +자녀의 가족 구성, 근로자 및 기능 종사자, 전문직, 전업주부는 영유아기를 안전 교육의 처음 시기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 남성, 미혼, 고학력은 아동기에 생활안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여성, 기혼은 영유아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 제11-8호 논문(최서연유혜진)85-96~2.pdf (318.3KB) (18)





207개(8/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