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인지왜곡, 절망감,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인지왜곡, 절망감, 우울, 자살생각의 인식이 어떠한지와 이들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인지왜곡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지, 또한 인지왜곡이 절망감과 우울에 영향을 주어 자살생각에도 영향을 주는지,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학생이다. 총 2,336명에게 자살생각 여부를 조사하여 이 중에서,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학생 402명이 최종 분석대상이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6과
AMOS 24.0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분석과 집단간 비교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왜곡이 높을수록 자살생각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망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이
높을수록 자살생각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왜곡이 높을수록 절망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왜곡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절망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인지왜곡이 절망감과 우울에 영향을 주어 자살생각에 간접효과로 정적 영향을 주었다. 여덟째, 인지왜곡, 우울, 절망감이 자살생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사회적 지지가 조절 역할을 하였다. 인지왜곡이 자살생각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으나 우울이나 절망감을 더욱 증폭시켜 자살생각을 높여주므로 인지왜곡을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핵심 단어: 인지왜곡, 절망감, 우울, 자살생각, 사회적지지
- 고등학생의 인지왜곡, 절망감,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pdf (838.1KB) (4)





434개(1/22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안전문화포럼지정 생명안전센터규정
![]() |
안전문화뉴스 | 1137 | 2022.10.16 18:51 |
433 |
장애인의 폭력 및 차별경험과 자살생각에 관한 융합연구
![]() |
안전문화포럼 | 80 | 2022.07.28 11:27 |
432 |
한국 성인의 성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 분석
![]() |
안전문화포럼 | 75 | 2022.07.28 11:25 |
>> |
고등학생의 인지왜곡, 절망감,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 |
안전문화포럼 | 151 | 2022.07.28 11:19 |
430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내적속박감과 외적속박감의 매개
![]() |
안전문화포럼 | 108 | 2022.07.28 11:16 |
429 |
대도시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정신건강관련
![]() |
안전문화포럼 | 117 | 2022.07.28 11:14 |
428 |
아동의 또래 간 의사소통, 우울감 및 자아탄력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
안전문화포럼 | 96 | 2022.07.28 11:13 |
427 |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 |
안전문화포럼 | 91 | 2022.07.28 11:11 |
426 |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 |
안전문화포럼 | 88 | 2022.07.28 11:09 |
425 |
피학대경험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조절 요인에 관한 고찰
![]() |
안전문화포럼 | 97 | 2022.07.28 11:07 |
424 |
자살생각을 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
![]() |
안전문화포럼 | 179 | 2022.07.28 11:02 |
423 |
업무상 재해로서 자살의 인정요건과 유형별 고찰
![]() |
안전문화포럼 | 88 | 2022.07.28 10:52 |
422 |
일산화탄소에 의한 자살 특성 연구:사망원인통계를 중심으로
![]() |
안전문화포럼 | 235 | 2022.07.28 09:44 |
421 |
우리나라의 자살급증원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 |
안전문화포럼 | 112 | 2022.07.26 11:29 |
420 |
자살자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자살원인 규명을 통한 자살자 삶의 재구성-
![]() |
안전문화포럼 | 137 | 2022.07.26 11:11 |
419 |
경찰공무원의 자살원인 분석과 예방대책
![]() |
안전문화포럼 | 104 | 2022.07.26 11:09 |
418 |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상담자 요구
![]() |
안전문화포럼 | 78 | 2022.07.25 17:08 |
417 |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의 개입방안에 대한 수퍼바이저의 인식연구
![]() |
안전문화포럼 | 72 | 2022.07.25 17:07 |
416 |
고위기(자살시도 및 자해)청소년 개인맞춤형 그뤠잇⁺ 프로그램의 효과
![]() |
안전문화포럼 | 103 | 2022.07.25 17:06 |
415 |
부정 긴급성,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곤란이 경계선 성격의 자해 행동에 미
![]() |
안전문화포럼 | 201 | 2022.07.25 17:03 |
414 |
청소년의 자해 행동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
안전문화포럼 | 144 | 2022.07.25 1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