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예방 캠페인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 메시지 특성과 개인차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자살예방 공익광고 메시지가 프레이밍 유형 (긍정/부정)과 소구유형 (개인/사회)에 따라 수용자의 태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광고 메시지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특성 변인으로는 인지적 정서조절, 자존감과 자기검색도를 설정했다.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에서는 부정적인 메시지보다
긍정적인 메시지가 사람들의 생명존중 태도와 자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구유형 (개인/사회)에 있어서는 사회적 소구가 개인적 소구보다 생명존중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았다. 개인의 특성 변인 중 인지적 정서조절 수준은 생명존중 태도와 자살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중심어 :자살예방, 캠페인, 메시지, 개인, 특성, 커뮤니케이션, 효과
- 자살예방 캠페인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pdf (893.9KB) (1)





434개(8/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