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 |
![]() |
![]() |
![]() |
![]() |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 1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 동기, 상사 신뢰, 조직 의사소통 만족, 환자 안전 침묵이 근접 오류보고 의향에 미치는 영향 / 김세진·정귀임
- 2해외 단기 의료봉사활동이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셀프리더십, 영적안녕,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현사생·양희모
- 3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운영 실태 및 정책요구 / 지성화·김성현
- 4「안전문화연구」 제16호
- 5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건설현장 안전보건관리체계 범위에 관한 연구 / 정상윤·김승호
- 6집합건물 경비원 운영 제도의 검토 -경비업무, 범죄경력조회, 감독 규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신관우
- 7지자체 내 적정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요양병원의 규모산정에 관한 연구 -강북구를 중심으로- / 박연성·최윤진
- 8육아 예능 TV프로그램과 시청자 반응에 나타난 아동 권리 침해에 대한 소고(小考) / 권혜진
- 9사무직 종사자의 안전보건 교육실태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최서연·나민오·김영식·정원일
- 10아이슬란드의 마약류사범 갱생보호제도 연구 / 공정식·최주희
- 11자동차 경성 사기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고의충돌을 중심으로- / 이동임
- 12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 개선으로 유지관리 향상방안 연구 / 박근식·박종용
- 13건설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기술 기반 VE 프로세스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민경석
- 14건축공사 주요 공종의 안전사고 발생확률 예측에 관한 연구 / 이종식
- 15시뮬레이션 기반의 SBAR 의사소통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의사소통능력 -영유아 대상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 김동원·신정순
- 16도시환경요인과 범죄정책인식의 관계연구 / 유창영·권준성·최주희
- 17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 경기대학교산학협력단과 업무 협약(MOU)

급성 중독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사망한 환자의 원인물질 및 시간 분포
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국가재난본부 정보시스템(NEDIS)을 분석하여 급성 치명적 중독의 원인과 사망 시간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방법: 비의료 방문을 제외한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NEDIS 데이터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급성 중독 환자들은 진단 코드를 사용하여 추출되었다. 독성물질은 의약품, 농약, 가스, 인공유독물질, 천연유독물질로 분류됐다. 환자들은 사망 시간, 사망 장소, 지역에 따라 분류되었다. 각각의 경우 독극물의 원인 물질이 가장 많이 확인됐다.
결과: 독극물 관련 진단을 포함한 환자는 38만531명으로 이 가운데 4148명(1.1%)이 사망했으며 WHO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10만명당 4.8명이었다. 1차 진단 결과 급성중독으로 사망한 사망환자 2702명을 분석한 결과 독살사 원인이 농약(62%)으로 가장 많았고 치료제, 가스, 인공유독물질 등이 뒤를 이었다.
제초제가 64.5%로 가장 많았다. 시간별 사망률, 과급성(<6시간) 27.9%, 급성(6-24시간) 32.6%, 아급성(1-7d) 29.7% 및 지연 기간(>7d)은 9.8%였다.
결론: 이번 연구는 독살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이 살충제였으며, 사망자의 60%가 24시간 이내에 발생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살충제로 인한 사망률의 71%는 6-24시간 내에 발생하지만 가스로 인한 사망률은 대부분 6시간 내에 발생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독살 사망의 주요 원인이 농약이나 의약품으로 다양했다.
주제어: 중독, 과다복용, 사망률
- 급성 중독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사망한 환자의 원인물질 및 시간 분포.pdf (660.7KB) (4)





128개(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