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성인 자살 예방 집단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안전문화포럼 | 2022.01.14 16:21 | 조회 2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성인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검증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선정했고, 연령대 범위가 넓은 성 인을 생애주기별 대표집단인 노년기의 노인, 중년기의 중년, 청년기의 군인과 대학생 집단으로 구분 해 프로그램의 접근방법과 유형에 따라 효과크기를 하위집단별로 분석했다.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주요 지표인 자살사고와 우울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와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크기를 산출했다. 개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변인으로 성별, 자살위험정도, 임상군 여부, 프로그램 접근방법, 프로그램 유형, 총 회기 수, 운영기간, 회기 당 시간, 주당횟수, 집단크기를 설정하여 분석했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성인 자살 예방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연구논문을 총 26편 선정한 후, 무선효과모형으로 60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효과크기는 0.858로 나타나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자살사고는 중간 효과크기(g=0.741), 우울은 큰 효과크기(g=0.987)로 나타 났다. 둘째, 중재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 결과, 단일성별로 구성할 때, 자살 고위험군에게, 정신과 적 문제로 진단을 받은 임상군에게, 11∼20회로 운영할 때, 5∼8주 실시할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셋 째, 참여자 유형에 따른 분석에서 중년, 군인, 대학생, 노인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중년과 군 인은 큰 효과크기, 대학생과 노인은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차이가 유의했다. 하위집 단별 분석에서 노인은 네트워크 접근과 대인관계치료(IPT), 통합적 치료가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중년, 군인, 대학생은 공통적으로 인지행동이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군인의 경우 예술치료도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요 시사점과 추후 연구 제언을 논의했다. 

주제어: 성인, 자살 예방, 집단 프로그램, 메타분석, 효과크기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28개(1/7페이지)
생명안전센터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28 생애회고에 의한 고령층의 재무적 사건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6 2022.01.18 15:04
127 아동학대 사망사건의 생존 형제자매는 어떻게 보호되고 있는가?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0 2022.01.18 14:57
126 연도별, 업종별 업무상 사고사망자 특성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73 2022.01.18 14:36
125 보호자의 소생술 거부에 따른 구급대원의 소생술 유보 의료지도 요청에 대한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84 2022.01.18 14:19
124 코로나19의 재해 해당 여부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117 2022.01.18 14:16
123 지역 특성 데이터에 기반한 코로나19 사망 위험 요인 분석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90 2022.01.18 14:12
122 한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의 특성과 경과; 국가 데이터베이스의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94 2022.01.18 14:08
12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후(死後) 확진 사례를 통한 검시과정의 감염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9 2022.01.18 12:32
120 보고되지 않은 감염자와 정부의 방역정책 순응도를 고려한 한국 내 코로나바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0 2022.01.18 12:30
119 급성 중독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사망한 환자의 원인물질 및 시간 분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8 2022.01.18 12:26
118 아동학대범죄의 구성요건 정비 방안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6 2022.01.18 12:16
117 아동학대의 초기 대응체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안전문화포럼 96 2022.01.18 12:12
116 아동 재학대에 대한 법제도적 대응방안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9 2022.01.18 12:10
115 가족에 의한 학대피해 치매노인의 권리보호를 위한 판례분석연구: 범죄사실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128 2022.01.18 12:07
114 보험금 부정취득 목적으로 체결한 누적적 보험계약의 효력에 관한 법적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46 2022.01.18 12:01
113 ʻ도촬행위ʼ 처벌규정의 도입 필요성 및 그 내용에 관한 고찰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45 2022.01.18 11:47
112 아동학대 예방 관련 법·제도 연구: 다양한 문화 안에서의 법과 제도 비교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97 2022.01.18 11:45
111 보호자에 의한 아동학대 대책에 관하여: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92 2022.01.18 11:43
110 가정 내 아동고문 범죄에 대한 시론적 고찰 - 미국의 아동고문(child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77 2022.01.18 11:41
109 도심지에서 RDD 및 IND수단에 의한 핵테러 발생시 피해 영향 평가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2 2022.01.18 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