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성인 자살 예방 집단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성인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검증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선정했고, 연령대 범위가 넓은 성
인을 생애주기별 대표집단인 노년기의 노인, 중년기의 중년, 청년기의 군인과 대학생 집단으로 구분
해 프로그램의 접근방법과 유형에 따라 효과크기를 하위집단별로 분석했다.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주요 지표인 자살사고와 우울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와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크기를 산출했다. 개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변인으로 성별, 자살위험정도, 임상군 여부, 프로그램 접근방법, 프로그램
유형, 총 회기 수, 운영기간, 회기 당 시간, 주당횟수, 집단크기를 설정하여 분석했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성인 자살 예방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연구논문을 총 26편 선정한 후, 무선효과모형으로
60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효과크기는 0.858로 나타나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자살사고는 중간 효과크기(g=0.741), 우울은 큰 효과크기(g=0.987)로 나타
났다. 둘째, 중재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 결과, 단일성별로 구성할 때, 자살 고위험군에게, 정신과
적 문제로 진단을 받은 임상군에게, 11∼20회로 운영할 때, 5∼8주 실시할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셋
째, 참여자 유형에 따른 분석에서 중년, 군인, 대학생, 노인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중년과 군
인은 큰 효과크기, 대학생과 노인은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차이가 유의했다. 하위집
단별 분석에서 노인은 네트워크 접근과 대인관계치료(IPT), 통합적 치료가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중년, 군인, 대학생은 공통적으로 인지행동이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군인의 경우 예술치료도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요 시사점과 추후 연구 제언을 논의했다.
주제어: 성인, 자살 예방, 집단 프로그램, 메타분석, 효과크기
- 국내 성인 자살 예방 집단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pdf (1.4MB) (1)





128개(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