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의 자살 위기 대응체계 개선방안 연구: 현장 사례 중심으로
2015년 자살 관련 112신고 코드가 별도로
신설된 이후, 자살 관련 신고 건수는 해마다 급
증하여 2019년에는 90,308건을 기록하였다.
이는 자살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매우 높
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찰의 자살 신고 대응은 자살기도자 발견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자살기도자의 2
차적 자살 시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
살기도자의 사후조치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이에 경찰은 ‘회복적 경찰 활동’ 차원에서 자
살기도자 보호조치와관련 기관간협업을 통하
여 2차적 자살 시도를 예방하기 위하여 노력하
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 현장 경찰은 위
와 같이 늘어나는 자살 신고와 적극적인 자살
대응 지침으로인하여 그업무에부담을호소하
고 있으며, 자살 신고 대응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들을 공개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찰 자살구조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기타 실무적 사항을 살펴봄으로써 이
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경찰과
관련 기관 간의 사후 인계 과정에서 생기는 문
제점도 진단하였다.
이를 통해 여기서는 관련 개선방안으로 경찰
의 자살 위기 대응 전담부서 운영과 관련 기관
간실질적인협조체계의구축을제안하였다. 이
를 위해서는 먼저 위기 대응 경찰 인력증원과
구조 전문 장비 및 훈련이 도입되어야 하며, 또
한경찰, 소방, 자살예방센터등관련기관간상
호업무 이해와 적극적인 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중앙 정부의 관심과 지도로 실
질적인 구조 활동이 추진되어야만 효율적인 자
살 위기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경찰, 자살, 자살 위기 대응, 자살 예방, 관련 기관의 상호협력
- 경찰의 자살 위기 대응체계 개선방안 연구- 현장 사례 중심으로-.pdf (518.6KB) (11)





128개(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