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본 연구는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를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척도는 자살과 관련된 주요 .
요인인 자살사고 우울감 무망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척도는 자기보고식으로 되어 있다 본 , , , .
연구는 전국적으로 세 이상의 남녀 명을 대상으로 연구절차를 설명한 후 진행하였고 탐색적 20 1,060 ,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 문항으로 추출되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했다 3 18 .
최대우도법과 직접 오블리민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적재량은 이 교차적 , .55-.93 ,
재량은 이상이 없었고 공통성은 로 나타났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절대적합 .32 , .46-.65 . ,
지수인 는 는 는 이 나왔으며 증분적합지수는 CMIN/DF 4.936, GFI .935, RMSEA .061 , NFI, CFI, IFI,
TLI .950, .959, .959, .953 . CMIN/DF 2.718 는 각각 로 나타났다 수정모델에서는 가 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향상되었고 다른 값들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자살관련 주요 요인을 타당화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자살생각척도 자살사고 우울감 무망감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pdf (608KB) (1)





128개(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