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 |
![]() |
![]() |
![]() |
![]() |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 1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 동기, 상사 신뢰, 조직 의사소통 만족, 환자 안전 침묵이 근접 오류보고 의향에 미치는 영향 / 김세진·정귀임
- 2해외 단기 의료봉사활동이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셀프리더십, 영적안녕,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현사생·양희모
- 3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운영 실태 및 정책요구 / 지성화·김성현
- 4「안전문화연구」 제16호
- 5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건설현장 안전보건관리체계 범위에 관한 연구 / 정상윤·김승호
- 6집합건물 경비원 운영 제도의 검토 -경비업무, 범죄경력조회, 감독 규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신관우
- 7육아 예능 TV프로그램과 시청자 반응에 나타난 아동 권리 침해에 대한 소고(小考) / 권혜진
- 8지자체 내 적정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요양병원의 규모산정에 관한 연구 -강북구를 중심으로- / 박연성·최윤진
- 9사무직 종사자의 안전보건 교육실태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최서연·나민오·김영식·정원일
- 10아이슬란드의 마약류사범 갱생보호제도 연구 / 공정식·최주희
- 11자동차 경성 사기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고의충돌을 중심으로- / 이동임
- 12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 개선으로 유지관리 향상방안 연구 / 박근식·박종용
- 13건설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기술 기반 VE 프로세스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민경석
- 14건축공사 주요 공종의 안전사고 발생확률 예측에 관한 연구 / 이종식
- 15시뮬레이션 기반의 SBAR 의사소통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의사소통능력 -영유아 대상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 김동원·신정순
- 16도시환경요인과 범죄정책인식의 관계연구 / 유창영·권준성·최주희
- 17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 경기대학교산학협력단과 업무 협약(MOU)

낚시어선의 안전에 관한 소고 -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을 중심으로 -
낚시어선 제도는 어촌관광의 활성화 및 어가소득의 증대 등을 위하여 1995년
에 만든 제도이다. 그러나 원래의 목적과는 달리 ‘낚시어선업’에만 종사하는 낚
시어선이 늘어나 현재는 하나의 레저산업으로 변형되고 있다.
해양안전심판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낚시어선에
서 발생한 사고는 모두 1,215건으로 나타났으며 이 기간 중 낚시어선에서 발생
한 사망 실종자 수는 24명, 부상자는 120명으로 나타났다.
현재 낚시어선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는 충돌, 좌초, 전복, 침몰, 화재, 기관
손상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5년에 발생한 낚시어선 전복사고의 경우 낚시어선이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출항한 후 전복되어 승선인
원 총 21명중 낚시승객 3명만 구조되고 선장을 포함한 18명은 사망 또는 실종
되었다. 또한 2019년에 발생한 낚시어선의 충돌사고에서는 낚시어선이 다른 선
박과 충돌한 후 전복되어 승선인원 14명 모두가 물에 빠져 한겨울 바닷물에 노
출되어 5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또한 일부 선장들은 영업구역 위반 등을 숨기
기 위해 의도적으로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를 꺼서 조난시 수색구조에 어
려움을 초래하기도 했다.
낚시어선은 여객선, 유선 및 도선 등과 함께 다중이용선박으로서 일반인 승
객들의 안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이 매년 발행하는 재결사례집 에 실린
지난 5년간의 낚시어선 관련 사고들을 분석하여 각 원인별로 관련 사고를 방지
혹은 저감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낚시승객들의 안전을 위
하여 기본적으로는 낚시어선 선장들에 대한 “낚시어선 전문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뿐만 아니라 낚시어선의 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이
나 일부 관련 법규정의 개정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낚시어선, 해양사고, 다중이용선박, 낚시어선 전문교육, 낚시 관리 및
육성법, 해양안전심판원
- 낚시어선의 안전에 관한 소고 -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을 중심으로 -.pdf (387.7KB) (2)





128개(3/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