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 |
![]() |
![]() |
![]() |
![]() |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 1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 동기, 상사 신뢰, 조직 의사소통 만족, 환자 안전 침묵이 근접 오류보고 의향에 미치는 영향 / 김세진·정귀임
- 2해외 단기 의료봉사활동이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셀프리더십, 영적안녕,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현사생·양희모
- 3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운영 실태 및 정책요구 / 지성화·김성현
- 4「안전문화연구」 제16호
- 5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건설현장 안전보건관리체계 범위에 관한 연구 / 정상윤·김승호
- 6집합건물 경비원 운영 제도의 검토 -경비업무, 범죄경력조회, 감독 규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신관우
- 7지자체 내 적정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요양병원의 규모산정에 관한 연구 -강북구를 중심으로- / 박연성·최윤진
- 8육아 예능 TV프로그램과 시청자 반응에 나타난 아동 권리 침해에 대한 소고(小考) / 권혜진
- 9사무직 종사자의 안전보건 교육실태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최서연·나민오·김영식·정원일
- 10아이슬란드의 마약류사범 갱생보호제도 연구 / 공정식·최주희
- 11자동차 경성 사기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고의충돌을 중심으로- / 이동임
- 12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 개선으로 유지관리 향상방안 연구 / 박근식·박종용
- 13건설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기술 기반 VE 프로세스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민경석
- 14건축공사 주요 공종의 안전사고 발생확률 예측에 관한 연구 / 이종식
- 15시뮬레이션 기반의 SBAR 의사소통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의사소통능력 -영유아 대상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 김동원·신정순
- 16도시환경요인과 범죄정책인식의 관계연구 / 유창영·권준성·최주희
- 17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 경기대학교산학협력단과 업무 협약(MOU)

공공시설물 개선을 위한 어린이보호구역 디자인 요소 발굴 및 활용방안 연구
정부는 1995년 도로교통법 및 어린이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 제정을 통해 초등학교 등의 대상시설을 어린이보
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어린이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특히 2020년 교통안전시설의 의무설치와 운전
자 처벌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도로교통법(민식이법)의 개정으로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급격
히 높아졌으나 법 시행 이후에도 어린이보호구역 내 어린이 사망사고와 상해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어린이보호구역 관련 용어의 정의 등을 통해 연구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어린이보호구역 관련 법규에 따른 지정 및
운영현황, 교통사고 현황 등의 분석과 경기도 사고다발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사례 등을 통해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
하고 있는 어린이 교통사고의 원인과 사고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어린이보호구역의 주요문제점과 개선 필요
사항을 도출하여 어린이보호구역의 교통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지켜져야 할 4가지 안전요소를 발굴하였으며 경기도 어린
이보호구역 개선 사례 및 지침서 분석을 통해 안전요소의 유효성 및 주요문제점 해결을 위한 공공시설물 관점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을 위한 디자인 관점의 다양한 시도와 새로운 아이디어의 발굴이 가능하도록
어린이보호구역의 디자인 요소를 물리적 기능(Physical function), 시각적 기능(Visual function), 정서적 기능(Emotional
function)요소 등으로 새롭게 분류하고 어린이보호구역의 신규조성 및 개선을 위한 포괄적, 부분적 디자인 개발에 적용가능
한 디자인 요소의 활용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여 디자인 관점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주제어: 어린이보호구역, 어린이교통안전, 스쿨존, 안전요소, 공공시설물
- 공공시설물 개선을 위한 어린이보호구역 디자인 요소 발굴 및 활용방안 연구.pdf (3.8MB) (4)





128개(3/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