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국내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코호트 격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안전문화포럼 | 2022.01.17 10:39 | 조회 32
국내 COVID-19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사망자의 95% 이상이 60대 이상 연령층이며 80세 이상 치명률은 18.7%에 달한다. 특히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의 요양병원 입원환자나 노인요양시설 입소자는 건강상 취약성 외에도 밀집공간에서 집단생활을 한다는 점에서 COVID-19 감염 위험에 이중으로 노출되어 있다. 실제 국내에서 COVID-19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의 35%가 요양병원 입원환자 및 노인요양시설 입소자, 의료진, 간병인 등 관련자였다. 이에 지방자치단체는 의료기관 내 확진자의 집단 발생으로 감염 확산이 우려될 경우, 코호트 격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급종합병원과 달리 대부분의 요양병원 및 노인요양시설은 만성질환이나 노인성질환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시설과 인력만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COVID-19와 같이 높은 수준의 격리 또는 치료가 필요한 신종감염병에 대응할만한 시설이나 전문인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무분별한 코호트 격리는 고위험군인 입원환자 및 입소자의 건강과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요양병원 및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코호트 격리 조치의 문제점으로 코호트 격리 운영 시설의 부족, 코호트 격리 운영 전문보건의료인력 부족, 요양병원 입원환자 및 노인요양시설 입소자의 기본권 침해를 꼽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외 코호트 격리 지침을 비교 분석하여, 1) 코호트 격리 시설 확충 및 협력 체계 강화, 2) 전문보건의료인력 지원 확충 및 인력 교류 체계 마련, 3) 코호트 격리 환자의 자기결정권 보장, 4) 코호트 격리 대상의 선별 기준 마련을 통한 국내 요양병원 및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코호트 격리 조치의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28개(3/7페이지)
생명안전센터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88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누출로 인한 질식사고 원인분석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27 2022.01.17 11:13
87 중대재해처벌법의 법적 쟁점과 법정책 과제 - 기업의 안전보건조치 강화의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6 2022.01.17 11:11
86 반도체 PR 공정의 인화성 물질 누출 빈도분석을 통한 위험성 평가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9 2022.01.17 11:09
85 DC 전기장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연기 진행 방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70 2022.01.17 11:06
84 화재시나리오 선정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인명피해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4 2022.01.17 11:01
83 낚시어선의 안전에 관한 소고 -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을 중심으로 -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3 2022.01.17 10:53
82 도로터널에서 수소 연료차 수소탱크 폭발시 폭발압력에 대한 기초적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55 2022.01.17 10:51
81 AI 계호시스템을 활용한 교정사고 방지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29 2022.01.17 10:46
80 공공시설물 개선을 위한 어린이보호구역 디자인 요소 발굴 및 활용방안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64 2022.01.17 10:44
79 위락시설의 화재 및 인명피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49 2022.01.17 10:42
78 고독사의 법적 개념에 대한 입법정책적 개선방안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109 2022.01.17 10:40
>> 국내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코호트 격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3 2022.01.17 10:39
76 실종장애인 사건 수색을 위한 제도개선방안연구 -전담기관설립 및 사전심사제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84 2022.01.17 10:35
75 미국의 교정시설 COVID-19 대응 관련 한계 및 쟁점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85 2022.01.17 10:33
74 4차 산업혁명 시대 선진 응급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29 2022.01.17 10:30
73 4M을 활용한 떨어짐 사망사고 저감 방안 연구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0 2022.01.17 10:26
72 COVID-19 팬데믹에서의 미국 내 범죄 동향과 한국의 범죄 정책제언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29 2022.01.17 10:24
71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과 향후 과제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197 2022.01.17 10:21
70 PM (Personal Mobility) 교통사고 특성 및 사망사고 발생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4 2022.01.17 10:17
69 고령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첨부파일 안전문화포럼 31 2022.01.17 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