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 |
![]() |
![]() |
![]() |
![]() |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 1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 동기, 상사 신뢰, 조직 의사소통 만족, 환자 안전 침묵이 근접 오류보고 의향에 미치는 영향 / 김세진·정귀임
- 2해외 단기 의료봉사활동이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셀프리더십, 영적안녕,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현사생·양희모
- 3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운영 실태 및 정책요구 / 지성화·김성현
- 4「안전문화연구」 제16호
- 5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건설현장 안전보건관리체계 범위에 관한 연구 / 정상윤·김승호
- 6집합건물 경비원 운영 제도의 검토 -경비업무, 범죄경력조회, 감독 규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신관우
- 7지자체 내 적정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요양병원의 규모산정에 관한 연구 -강북구를 중심으로- / 박연성·최윤진
- 8육아 예능 TV프로그램과 시청자 반응에 나타난 아동 권리 침해에 대한 소고(小考) / 권혜진
- 9사무직 종사자의 안전보건 교육실태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최서연·나민오·김영식·정원일
- 10아이슬란드의 마약류사범 갱생보호제도 연구 / 공정식·최주희
- 11자동차 경성 사기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고의충돌을 중심으로- / 이동임
- 12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 개선으로 유지관리 향상방안 연구 / 박근식·박종용
- 13건설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기술 기반 VE 프로세스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민경석
- 14건축공사 주요 공종의 안전사고 발생확률 예측에 관한 연구 / 이종식
- 15시뮬레이션 기반의 SBAR 의사소통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의사소통능력 -영유아 대상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 김동원·신정순
- 16도시환경요인과 범죄정책인식의 관계연구 / 유창영·권준성·최주희
- 17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 경기대학교산학협력단과 업무 협약(MOU)

국내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코호트 격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내 COVID-19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사망자의 95% 이상이 60대 이상 연령층이며 80세 이상 치명률은 18.7%에 달한다. 특히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의 요양병원 입원환자나 노인요양시설 입소자는 건강상 취약성 외에도 밀집공간에서 집단생활을 한다는 점에서 COVID-19 감염 위험에 이중으로 노출되어 있다. 실제 국내에서 COVID-19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의 35%가 요양병원 입원환자 및 노인요양시설 입소자, 의료진, 간병인 등 관련자였다. 이에 지방자치단체는 의료기관 내 확진자의 집단 발생으로 감염 확산이 우려될 경우, 코호트 격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급종합병원과 달리 대부분의 요양병원 및 노인요양시설은 만성질환이나 노인성질환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시설과 인력만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COVID-19와 같이 높은 수준의 격리 또는 치료가 필요한 신종감염병에 대응할만한 시설이나 전문인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무분별한 코호트 격리는 고위험군인 입원환자 및 입소자의 건강과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요양병원 및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코호트 격리 조치의 문제점으로 코호트 격리 운영 시설의 부족, 코호트 격리 운영 전문보건의료인력 부족, 요양병원 입원환자 및 노인요양시설 입소자의 기본권 침해를 꼽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외 코호트 격리 지침을 비교 분석하여, 1) 코호트 격리 시설 확충 및 협력 체계 강화, 2) 전문보건의료인력 지원 확충 및 인력 교류 체계 마련, 3) 코호트 격리 환자의 자기결정권 보장, 4) 코호트 격리 대상의 선별 기준 마련을 통한 국내 요양병원 및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코호트 격리 조치의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 국내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코호트 격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pdf (381.3KB) (2)





128개(3/7페이지)